Scientific Paper

Journal of the Korean Asphalt Institute. 18 July 2022. 127-134
https://doi.org/10.22702/jkai.2022.12.1.12

ABSTRACT


MAIN

  • 1. 서 론

  • 2. 하중-변위 곡선 접선보정의 필요성과 보정방법

  •   2.1 하중-변위곡선과 휨 에너지와 휨 강성의 관계

  •   2.2 접선보정방법

  • 3. 접선보정이 휨 에너지 및 휨 강성에 미치는 영향

  •   3.1 접선보정 설정 방법

  •   3.2 휨 에너지 및 휨 강성 해석 결과

  • 4. 결 론

1. 서 론

휨 시험은 일본도로공단(Japan highway public corporation)과 일본 개질 아스팔트협회(Japan modified asphalt assocaition)에서 1999년부터 3년간 연구·개발한 시험으로서 60°C 점도시험과 터프니스-테너시티 시험 대신 고점도 아스팔트 바인더의 물리적 성능을 정확히 평가할 수 있고, 배수성 아스팔트 혼합물의 성능과 연관성이 높다는 특징이 있다(Ohno et al., 2002; Kang, 2002; Murayama and Hamada, 2005; Kim et al., 2021). 국내에서는 2011년 국토교통부의 ‘배수성 아스팔트 혼합물 생산 및 시공 잠정지침’에 도입되어 고점도 아스팔트 바인더의 물리적 성능평가지표로서 사용하고 있으며 -20°C 휨 에너지(Flexural energy)의 기준 0.4 MPa 이상과 휨 강성(Flexural stiffness)의 기준 100 MPa 이하를 적용하여 평가한다. 휨 시험 방법은 일본의 포장조사·시험법편람 A063과 국내 KS F 2491에 명시되어 있는데 하중-변위 곡선(Load-displacement curve)에서 하중 상승 부분에서 접선보정을 실시해야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하지만 정확하게 어떠한 방법으로 접선 보정을 실시하여 변위량 d를 측정해야하는지 뚜렷하게 명시되어 있지 않아 휨 시험 결과를 해석함에 있어 모호함이 발생한다. 본 논문은 하중-변위곡선의 접선보정 이유와 방법을 소개하고 접선보정이 휨 에너지 및 휨 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2. 하중-변위 곡선 접선보정의 필요성과 보정방법

2.1 하중-변위곡선과 휨 에너지와 휨 강성의 관계

식 (1)부터 식 (4)는 휨 에너지 및 휨 강성을 구하는 과정이다. 휨 에너지 및 휨 강성은 최대 휨 응력 σmax와 최대 휨 변형률 εmax를 이용하여 구하는데, 최대변형률을 계산하는 과정에서 변위량 d를 측정해야한다. Fig. 1은 하중-변위 곡선과 휨 에너지, 휨 강성의 관계를 도식한 것이다(Takahashi, 2013; Kang, 2022). 휨 에너지는 하중이 시편에 재하되는 순간부터 최대하중에 도달하기까지 하중-변위곡선의 면적을 의미하며, 휨 강성은 변위량과 최대하중을 길이로 하는 직사각형을 도식했을 때 그 직사각형의 대각선길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곡선의 면적을 구하고, 대각선 길이를 측정함에 있어 변위량 d를 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식 (1)부터 식 (4)까지와 Fig.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변위량 d의 값의 변화는 휨 에너지와 휨 강성이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
σmax=3L2bh2P
(2)
εmax=6hL2d
(3)
FlexuralEnergy(MPa)=σmax×εmax
(4)
FlexuralStiffness(MPa)=σmaxεmax

여기서, σmax : 최대 휨 응력, MPa

εmax : 최대 휨 변형률, mm/mm

b : 시편의 폭, 20 mm

h : 시편의 두께, 20 mm

L : 시편의 지지점 간 거리, 80 mm

P : 최대 하중, N

d : 변위량, mm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jkai/2022-012-01/N0850120112/images/jkai_12_01_12_F1.jpg
Fig. 1.

Schematic diagram of load-displacement curve (Takahashi, 2013; Kang, 2022)

Fig. 2는 고점도 아스팔트 바인더의 하중-변위 곡선을 보인 것이다. 로드셀이 시편에 닿아 데이터 로거(Data logger)에 하중이 기록되기 시작하는 일부변위구간(3.5 mm~4.5 mm)를 확대하여 관찰하게 되면 하중의 증가 경향이 일정하지 않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은 첫째로 아스팔트는 온도 및 하중재하에 따라 물질의 상태가 변하는 대표적인 점탄성 물질이기 때문에 완전탄성체 거동을 할 수 없으며, 두 번째로는 바인더 성분과 SBS 개질제 등 고점도 아스팔트 바인더를 구성하는 내부 물질이 다양하고, 구성조직이 휨 시편 내 온전하게 균일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하중-변위 곡선의 면적인 휨 에너지와 기울기인 휨 강성을 쉽게 구하기 위하여 변위량 d를 간단하게 측정하는 방안으로 선형접선보정을 실시한다(Takahashi, 2013). 이러한 선형접선보정이 가능한 이유는 아스팔트는 대표적인 점탄성물질로서 극 저온에서의 아스팔트의 거동은 탄성거동에 가깝기 때문이다(Van Poel, 1954; NCAT, 1996; Shell, 2003; Kim, 2009). 일반적으로 휨 시험은 -20°C에서 수행을 하는데, 극 저온상태에서 아스팔트 바인더는 탄성거동에 가깝다고 가정하기 때문에 일본 및 국내 KS에서는 접선보정을 통해 변위량을 쉽게 계산하여 휨 시험 해석에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jkai/2022-012-01/N0850120112/images/jkai_12_01_12_F2.jpg
Fig. 2.

Load-displacement curve

2.2 접선보정방법

하중-변위곡선의 접선보정을 실시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어느 한점에서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하중 ‘0’에 수렴할 때의 변위를 측정하는 방법과 두 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을 구한 후 연장하여 하중 ‘0’에 수렴할 때의 변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하중-변위 곡선의 형태는 Fig. 2처럼 하중의 상승형태가 선형적이지 않고 불규칙하기 때문에 두 점을 이용한 직선의 방정식을 구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쉽다. 두 점 A(x1,y1), B(x2,y2)이 있을 때 이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식 (5)와 같다.

(5)
y-y1=y2-y1x2-x1(x-x1)

식 (5)의 방정식은 1차 선형 방정식 형태로서 선정된 두 점에 따라 직선의 기울기와 y절편, x절편이 변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접선보정을 위한 두 점을 정확하게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Fig. 3은 접선보정의 잘못된 사례와 올바른 사례를 보인 것이다. Fig. 3(A)의 경우 하중-변위 곡선의 변위보다 초과하도록 두 점을 설정하였기 때문에 부정확하며, Fig. 3(B)의 경우 하중-변위 곡선 내 변위 안쪽으로 보정이 되었으나 중간부분에서 하중-변위곡선보다 접선이 곡선 외부로 벗어났기 때문에 부정확하다. 하중-변위 곡선의 면적과 기울기로 휨 에너지와 휨 강성을 구하는데, Fig. 3(A) 및 (B)는 기존의 하중-변위 곡선보다 더 큰 면적과 더 큰 변위량으로 해석되기 때문에 휨 에너지와 휨 강성을 정확히 계산할 수 없다. Fig. 3(C)는 하중-변위 곡선 안쪽으로 보정되어 휨 에너지와 휨 강성을 올바르게 해석할 수 있다. Fig.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두 점을 설정하는 것에 따라 보정결과가 달라지기 때문에 두 점을 잡는 방법을 전산화하여 계산하면 편리하다. 일반적으로 Microsoft사의 엑셀(Excel)을 사용하여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으며 접선의 기울기는 Slope 함수를 사용하고, y절편은 Intercept 함수를 사용한다. 그 외에 Trend 함수나 Forecast 함수를 사용하여 하중이 0이 되는 변위 값을 예측할 수 있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jkai/2022-012-01/N0850120112/images/jkai_12_01_12_F3.jpg
Fig. 3.

Wrong & Correct case of tangential correction

3. 접선보정이 휨 에너지 및 휨 강성에 미치는 영향

3.1 접선보정 설정 방법

Fig. 4는 PG 82-28 등급 고점도 아스팔트 바인더로 -20°C에서 휨 시험을 실시한 것 중 휨 균열이 발생한 시료의 하중-변위곡선을 보인 것이다. 하중이 재하되는 도중 균열이 발생하면서 최대하중을 기록한 후 급격하게 하중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접선보정이 시험결과 해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소개하기 위하여 접선보정을 세 가지 경우로 나누어 보정을 실시하고 휨 에너지 및 휨 강성을 계산하였다. 하중의 상승이 선형처럼 거동하기 전 두 점의 간격을 짧게 잡은 경우(Case I), 하중의 상승이 선형과 같이 거동하기 시작하는 부근에서 두 점의 간격을 짧게 잡은 경우(Case II), Case II와 동일한 위치에서 두 점의 간격을 넓게 잡은 경우(Case III)로 구분하였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jkai/2022-012-01/N0850120112/images/jkai_12_01_12_F4.jpg
Fig. 4.

Load-displacement curve of specimens with flexural cracks

3.2 휨 에너지 및 휨 강성 해석 결과

Table 1부터 Table 3은 세 가지 경우로 접선을 보정하여 휨 에너지 및 휨 강성을 계산한 결과를 보인 것이다. 하중의 상승이 선형처럼 거동하기 전 두 점의 간격을 짧게 잡았을 때 변위량은 6.657 mm, 휨 강성은 99.7 MPa로 현행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Table 1), 하중의 상승이 선형과 같이 거동하기 시작하는 부근에서 두 점을 잡은 나머지의 경우는 변위량 각각 6.598 mm, 6.595 mm와 휨 강성 100.6 MPa(Table 2)와 100.7 MPa(Table 3)로 휨 강성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접선보정 설정에 따른 변위량 차이는 크지 않지만 해당 예와 같이 휨 에너지 또는 휨 강성 값이 현행기준 값과 비슷하게 계산된 경우 변위량 차이로 인해서 기준 만족 또는 불만족 여부가 달라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able 1.

Tangential correction and flexural energy, flexural stiffness result (CASE I)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jkai/2022-012-01/N0850120112/images/jkai_12_01_12_T1.jpg Pmax (N) 829.9
d (mm) 6.657
σmax (MPa) 12.4
εmax (mm/mm) 0.125
Flexural engery (MPa) 1.6 (Pass)
(Standard : ≧ 0.4 MPa)
Flexural stiffness (MPa) 99.7 (Pass)
(Standard : ≦ 100 MPa)
Table 2.

Tangential correction and flexural energy, flexural stiffness result (CASE II)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jkai/2022-012-01/N0850120112/images/jkai_12_01_12_T2.jpg Pmax (N) 829.9
d (mm) 6.598
σmax (MPa) 12.4
εmax (mm/mm) 0.124
Flexural engery (MPa) 1.5 (Pass)
(Standard : ≧ 0.4 MPa)
Flexural stiffness (MPa) 100.6 (Fail)
(Standard : ≦ 100 MPa)
Table 3.

Tangential correction and flexural energy, flexural stiffness result (CASE III)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jkai/2022-012-01/N0850120112/images/jkai_12_01_12_T3.jpg Pmax (N) 829.9
d (mm) 6.595
σmax (MPa) 12.4
εmax (mm/mm) 0.124
Flexural engery (MPa) 1.5 (Pass)
(Standard : ≧ 0.4 MPa)
Flexural stiffness (MPa) 100.7 (Fail)
(Standard : ≦ 100 MPa)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하중-변위 곡선의 접선보정의 중요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휨 시험의 하중-변위 곡선에서 접선보정하는 이유와 방법을 소개하고, 휨 균열이 발생한 PG 82-28 등급 고점도 아스팔트 바인더의 하중-변위 곡선을 3가지의 접선설정방법에 따른 해석결과를 비교분석한 결과를 아래와 같이 도출하였다.

1) 하중-변위곡선의 하중 재하시점부터 최대하중까지의 면적은 휨 에너지를 의미하고. 변위량과 최대하중을 길이로 하는 대각선의 길이는 휨 강성을 의미하기 때문에 접선보정을 올바르게 하여 변위량를 계산하는 것은 중요하다.

2) 휨 균열이 발생한 시편의 하중-변위곡선의 접선보정방법을 3가지로 나누어 해석한 결과 접선보정의 기준이 되는 두 점을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변위량 d가 상이해져 휨 에너지와 휨 강성의 값과 기준만족여부가 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3) 휨 시험 결과를 해석할 때 해석자의 인적요소(Human element)가 접선보정으로 반영되기에 올바른 접선보정으로 정확한 휨 에너지 및 휨 강성을 계산해야 할 필요가 있다.

References

1
Kang, I.H. (2022). Evaluation of Low Temperature Performance of High Viscosity Asphalt Binder by Means of Mathematical Modeling Approach,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cne and Technology.
2
Kim, G.B., Kang, I.H. and Park, T.S. (2021). “Experimental study on flexural energy and flexural stiffness of high viscosity asphalt binder of porous asphalt pavement”, Journal of the Korean Asphalt Institute, 11(2), pp. 304-316.
3
Kim, Y.R. (2009). Modeling of Asphalt Concrete, McGraw-Hill Construction & ASCE Press, New York.
4
Murayama, M. and Hamada, K. (2005). Q&A on Pavement Technology Vol. 9, Construction Book, Kensetutosho, pp. 206-210, Tokyo (in Japanese).
5
National Center for Asphalt Technology (NCAT) (1996). Hot Mix Asphalt Materials, Mixture Design and Construction- Second Edition, NAPA Research and Education Foundation.
6
Ohno, S., Motomatsu, S. and Takahara, K. (2002). Development of a New Evaluation Method for High-Viscosity Modified Asphalt, NEXCO Research Institute HIghway Technology Center, Technical Information Magazine, 65, pp. 32-35 (in Japanese).
7
Shell, B. (2003). The Shell Bitumen Handbook-Fifth Edition, Shell Bitumen U.K., Chertsey.
8
Takahashi, S. (2013). Research on Verification of The Effect of Introducing Porous Asphalt on Highways and Weakening of The Base Layer, ph.D Thesis, Hokkaido University, Hokkaido (in Japanese).
9
Van Poel, C. D. (1954). “A General System Describing the Visco‐Elastic Properties of Bitumens and Its Relation to Routine Test Data”, Journal of Applied Chemistry, 4(5), pp. 221-236. 10.1002/jctb.5010040501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