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ientific Paper

Journal of the Korean Asphalt Institute. 17 January 2024. 289-294
https://doi.org/10.22702/jkai.2023.13.2.23

ABSTRACT


MAIN

  • 1. 서 론

  • 2. 기존 문헌 및 사례 분석

  •   2.1 원단위 추출을 위한 인근지역 3곳의 유사시설 확인절차 제안

  •   2.2 교통영향평가 분석을 교통영향평가 실시와 미실시 경우 화물차량 댓수 산정절차 제안

  •   2.3 교통영향평가 분석을 교통영향평가 실시와 미실시 경우 화물차량 면적 산정절차 제안

  • 3. 결 론

1. 서 론

최근 세계적인 해양 물류환경은 글로벌 선사를 중심으로 운송원가 절감을 위해 물류 집중화, 표준화, 선박의 대형화 등이 가속화되고 있어, 우리나라도 대량의 물류처리, 대형 선박의 입출항, 취급용기의 표준화(컨테이너) 등에 대비하여 해양 물류환경 변화가 불가피한 실정이다. 정부는 이러한 해양 물류환경 변화에 대비하여 전국 항만기본계획, 항만 배후단지 종합계획에 따라 항만별로 기능과 역할을 부여하고 항만 기능 재편과 신규 항만 배후단지 공급을 추진하고 있다. 국가 무역항 중 하나인 인천항의 연간 컨테이너 처리량은 약300만 TEU인 점을 감안하면 향후 5년 이내 4백만 TEU를 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늘어나는 물동량에 비해 화물주차장에서는 주차부족사태가 발생하는 실정인데 이는 화물주차장 설계 시에 화물주차장 기준으로 설계를 하는 것이 아닌 승용차 기준으로 설계하였기 때문에 주차부족사태가 발생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승용차 기준의 기존 설계방법을 교통영향평가 실시에 따른 절차, 교통영향평가 미실시에 따른 절차로 구분하여 각각 원단위법을 통해 설계하는 흐름과 고속도로 화물차 주차장의 설계개념을 적용한 설계 흐름을 Fig. 1과 같이 항만 내 화물차 주차장 설계를 위한 설계 흐름도를 작성하였으며, 본 흐름을 토대로 예제를 작성하여 화물차 주차장 설계를 위한 매뉴얼 절차를 개발하였다. Fig. 1에서의 G, B, N분류는 Table 3의 항만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한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jkai/2024-013-02/N0850130212/images/jkai_2023_132_289_F1.jpg
Fig. 1.

Design flow chart of Truck Parking lot in Port Area

2. 기존 문헌 및 사례 분석

기존 교통영향평가에서 원단위법을 통해 산정되는 차량의 댓수와 교통영향평가의 물동량과 차량분담율을 통한 차량 댓수는 Table 1에 나타내었으며, 원단위법을 통한 차량 산정을 위한 인자와 물동량을 통해 화물차량을 산정하기 위한 인자를 정리한 표는 Table 2와 같다.

Table 1.

Traffic Impact Assessment and calculated number of Truck

Data Number of Truck Calculated Number of Truck
Incheon New Port hinterland complex
(MOF Incheon, 2016)
3,832 2,723
New port hinterland site in Busan-Jinhae Free Economic
Zone New Port Area (BPA, 2019)
5,011 4,247
Table 2.

Survery of factor data for calculating number of Truck

Data Basic
Units
Average loading
capacity
(ton/unit)
Average loading
tonnage of trucks
(%)
number of
working days
cargo volume
(ton/day)
Installation
standards
(1/m2)
Incheon New Port
hinterland complex
(MOF Incheon, 2016)
2.99 1.0 21.0 330 1,019 1/200
4.5 13.5
8.0 65.5
New port hinterland site in
Busan-Jinhae Free Economic
Zone New Port Area
(BPA, 2019)
4.52 0.5 21.0 363 14,760 1/200
2.25 25.8
4.0 53.2

2.1 원단위 추출을 위한 인근지역 3곳의 유사시설 확인절차 제안

Fig. 1의 흐름에 따라 화물차량 댓수 및 주차발생면적 산정 전, 원단위 추출을 위한 유사시설 조사를 위한 분류 조건을 Table 3과 조건에 따른 분류 항만을 Table 4와 같이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분류 조건은 신설항만 기준이 아닌 기존의 항만을 분류한 것이므로 추후에 신설항만에 적용가능한 분류 조건의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Table 3.

Classification of national trade ports according to four conditions

Classification criteria through port information Whether the conditions are met
1 CASE
(Quay wall length over 20000, yard area over 2000,
berthing capacity over 100, unloading capacity over 100000)
Satisfied with all 4 things
2 CASE
(Quay wall length over 10000, yard area over 1000,
berthing capacity over 50, unloading capacity over 50000)
Satisfied with one or more items
dissatisfaction
Table 4.

Port classification considering port size and cargo handling capacity (Choi et al., 2022)

Port classification Target port Note
G (Great) Incheon Port, Gwangyang Port, Busan Port 1CASE A Port that satisfies all four requirements
B (Big) Pyeongtaek Dangjin Port, Ulsan Port,
Pohang Port, Gunsan Port, Daesan Port
A Port that satisfies at least one
2CASE requirement
N (Normal) Ports other than the above 8Ports dissatisfaction

2.2 교통영향평가 분석을 교통영향평가 실시와 미실시 경우 화물차량 댓수 산정절차 제안

Fig. 1, Table 1Table 2의 교통영향평가의 자료를 토대로 원단위법을 통한 화물차량 댓수를 산정하는 방법과 화물물동량, 차량분담율, 평균적재톤수, 작업일수, 주차장 설치기준을 통해 교통영향평가 미실시의 경우에 대하여 각각 식 (1)식 (2)의 식을 통해 화물차량 댓수를 산정하여 Table 5에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체 발생한 차량댓수에 대해서 교통영향평가 상의 유출입비를 활용하여 차량댓수를 산정하였다.

(1)
Pd=UF1000e

Pd = Parking demand

U = Number of Truck

F = Building area by use (m2)

e = Parking use efficiency (%)

(2)
Pd=TD×u×(dr)

Pd = Parking demand

TD = Number of vehicles used

u = utilization rate (%)

d = congestion rate (%)

r = Turnover (%)

Table 5.

Traffic Impact Assessment Calculation of number of truck non-implementation

Data Traffic Impact Assessment evaluate Traffic Impact Assessment no evaluate
Incheon New Port
hinterland complex
(MOF Incheon, 2016)
P=3.02×766,457.691000×0.85=2,7232,723×10%=273Smalltruck=273×21%=58Mediumtruck=273×13.5%=37Largetruck=273×65.5%=178
New port hinterland site in
Busan-Jinhae Free Economic
Zone New Port Area
(BPA, 2019)
P=4.51×1,000,8041000×0.85=5,3105,310×26%=1,380Smalltruck=1,380×21%=290Mediumtruck=1,380×25.8%=356Largetruck=1,380×53.2%=734

식 (1)과 같이 교통영향평가 실시의 경우 화물차량 댓수를 산정하기 위한 원단위법 인자인 주차이용효율 e는 교통개발연구원(KOTI, 1987)이 제시한 0.8~0.9사이의 값인 0.85를 적용하는 것을 확인(Choi et al., 2022)에 따라 0.85를 적용하였으며, 교통영향평가 미실시의 경우 식 (2)와 같이 이용율 u를 산정하기 위한 식 (3)의 인자중 주차점유시간은 120분, 법정주차댓수와 같이 법정조례면적을 통해 산정되는 주차용량 법정주차댓수 산정방법을 통하여 산정하였다.

(3-1)
u(untilizationrate)=Nmberofparkingspaces×ParkingoccupancytimeParkingacity×12
(3-2)
Parkingacity=LegalparkingspacesOrdinanceinstallationstandards

2.3 교통영향평가 분석을 교통영향평가 실시와 미실시 경우 화물차량 면적 산정절차 제안

Table 4의 결과와 Fig. 2의 KDS 64 90 20의 주차구획과 도로설계요령의 주차구획인 소형 13.52 m2, 중형 118.2 m2, 대형차 169 m2, 특수대형 203 m2을 통해 화물차량의 주차면적과 구획을 토대로 전체 면적대비 주차장면적의 비율 산정하여 Table 5에 나타내었다.

Table 5의 화물차량 댓수 산정 결과에 따른 주차발생면적 산정결과는 Table 6과 같다. 산정결과 인천 신항의 경우 화물차량 댓수에 따른 주차발생면적이 전체 부지의 4%로 산정되었으며, 부산 진해 경제자유구역의 경우 전체부지의 17%로 산정됨을 확인하였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jkai/2024-013-02/N0850130212/images/jkai_2023_132_289_F2.jpg
Fig. 2.

Minimum dimension of parking unit division (MOF, 2020)

Table 6.

Area calculation through vehicle count calculation results

Data Area calculation through vehicle
count calculate
Truck area compared
to total area
Incheon New Port
hinterland complex
(MOF Incheon, 2016)
SmallTruck=58×13.52m2=784.16m2MediumTruck=37×118.2m2=4,374.4m2LargeTruck=178×169m2=30,082m2 4%
New port hinterland site in
Busan-Jinhae Free Economic
Zone New Port Area
(BPA, 2019)
SmallTruck=290×13.52m2=784.16m2MediumTruck=356×118.2m2=42,079.2m2LargeTruck=734×169m2=124,046m2 17%

3.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항만 내 화물차 주차장 설계를 위한 주차장 설계 흐름도를 설계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원단위 추출을 위한 항만분류, 교통영향평가 자료 분석을 통해 교통영향평가 실시 경우와 미실시 경우의 화물차량 댓수 산정 및 면적을 산출하였으며, 화물차 주차장 설계흐름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화물차 기준이 아닌 승용차 기준의 기존 설계방법에서 화물차 주차장 설계를 위한 설계 흐름도를 작성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예제를 작성하여 화물차 주차장 설계를 위한 매뉴얼 절차를 개발하였다.

2. 본 연구에서 사용한 분류 조건은 신설항만 기준이 아닌 기존의 항만을 분류한 것이므로 추후에 신설항만에 적용가능한 분류 조건의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3. 본 연구에서 화물차량 댓수 산정을 위해 교통영향평가 상의 승용차, 화물차 유출입 비율을 통해 화물차량 비율을 산정하여 차량댓수를 산출했지만 추후 비율 결정논리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할 예정이다.

4. 주차이용효율 e는 교통개발연구원이 제시한 0.8~0.9사이의 값인 0.85를 적용함에 따라 0.85를 적용하였지만, 고속도로 화물차 휴게소와 달리 항만의 경우 이용률 산정을 위한 적절한 지침이나 시방이 없으므로 후속 연구를 통해 적절한 주차이용효율을 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5. ~KDS 64 90 20의 주차구획과 도로설계요령의 주차구획인 소형 13.52 m2, 중형 118.2 m2, 대형차 169 m2, 특수대형 203 m2을 통해 화물차량의 주차면적과 구획을 토대로 전체 면적대비 주차장면적의 비율 산정한 결과 인천신항의 경우 35,250.56 m2으로 전체 주차발생면적 대비 4%, 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의 경우 166,909.36 m2으로 전체 주차발생면적 대비 17%로 산정되었다. 산정된 주차면적이 지자체 노외주차장 조례기준인 0.6%와 괴리가 있어 추가자료 분석을 통한 검토가 필요하다.

추후, 교통영향평가보고서와 실시설계보고서의 자료를 분석하여 주차댓수 및 주차발생 면적을 비교분석할 예정이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해양수산부/한국항만협회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으며, 이에 관계자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BPA (Busan Port Authority) (2019). "Basic and Detailed Design for Functional Facility Upper Port of Busan New Port West Container Terminal".
2
Choi, J.S., Jin, H.H., Lee, J.J. and Hong, S.H. (2022). "A study on the Design Methodology for Port Truck Parking Lot through Analysis of Existing Design Cases", Journal of the Korean Asphalt Institute 2022, 12(2), pp. 316-326.
3
MOF Incheon (2016). "Incheon cargo car parking lot Optimal location selection service".
4
KOTI (1987). "Study on implementation plan of traffic impact assessment system".
5
MOF (2020). KDS 64 90 20 : 2020, "Transportation facilities in port",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and Transport. drowsiness shelters",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