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ientific Paper

Journal of the Korean Asphalt Institute. 18 July 2022. 90-99
https://doi.org/10.22702/jkai.2022.12.1.8

ABSTRACT


MAIN

  • 1. 서 론

  • 2. 기존 문헌 및 자료 고찰방법

  •   2.1 국내 통계자료 분석을 통한 화물 물동량 분석

  •   2.2 화물차 주차장 소요면적 분석

  •   2.3 국내 물류처리량 통계 분석을 통한 화물 적재 시간 분석

  • 3. 화물차휴게소 문헌 분석 자료의 비교분석

  • 4. 결 론

1. 서 론

근래 들어 국가 간 거래가 활발해지면서 항만의 물류 처리량이 증가하고 있다. 2021년 전국 컨테이너 화물 물동량은 총 3,000만 TEU로, 2020년(2,910만 TEU), 2019년(2,923만 TEU) 대비 각각 3.1%, 2.6% 증가하였다(MOF, 2022). 특히 인천항의 경우 2021년 물동량이 335만 TEU로, 2008년 170만 TEU 대비 약 49.2% 증가하였다(IPA, 2009; Klnews, 2022). 그러나 늘어나는 항만의 물류 처리량과 달리 현재 항만에 배치된 화물차 주차장의 수는 물류 처리량에 비해 부족한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항만 근처에 노상주차장을 마련하는 법안이 마련된 상태이다. 따라서 Fig. 1처럼 주차 면수를 늘리기 위한 수요량 예측은 꾸준히 진행되고 있으나, 실제 현장에서는 예측된 수요와 맞지 않는 결과가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주차장 설계 시 사용되고 있는 주차면수 계산시 사용되는 산정식의 주차보정계수에 대해 기존의 문헌 및 연구 결과, 국내 물동량 통계 및 시행령의 변화 등에 기초하여 현실화 방안 필요성에 대해 항만 화물차 주차장의 주차량 산정 방식의 개선 방향을 검토하고자 한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jkai/2022-012-01/N0850120108/images/jkai_12_01_08_F1.jpg
Fig. 1.

Parking area increase status in Incheon port (IPA, 2017-2021)

2. 기존 문헌 및 자료 고찰방법

국내뿐만 아니라. 미국과 EU 국가에서도 항만주변의 주차난이 심각해서 주 정부 또는 시청에서 부지확보를 하여 항만근처에서 항만연계주차장을 운영하거나 항만근처 고속도로IC 진입로 전의 인접 지역에 화물차 전용주차장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미국도 대부분 100~200대 정도만 주차가 가능하여 항만 주차면이 적다는 것이 문제이며, 화물차들이 노상에 불법주차로 인하여 교통체증과 교통사고를 유발하고 있는 실정이다(FDOT, 2019). 따라서 미국과 EU 국가에서는 항만근처의 주차장확보를 위한 다양한 방법 구상 및 적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민자 또는 시립 주차장 건설, 주차예약제, 주차장앱, 고속도로화물주차장, 항만매립으로 발생하는 유휴지의 주차장건설등을 실시하고 있다(Port of Oakland, City of Oakland, 2019). 본 연구에서는 주차장 활용성 극대화 소프트웨어측면이 아닌, 설계방법론의 적정성을 현실화하고자 문헌분석을 실시하였다.

국내 문헌 및 자료 조사를 통해 먼저 항만 화물자동차 주차장의 현실 반영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내용은 교통영향평가(MOLIT, 2016)에서 주차수요 산정에 주로 쓰이는 식 (1), (2)에 나온 계수 중 주차용량, 주차이용대수, 평균주차시간에 중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1)
Pb=UF1000e

여기서,

Pb = 주차수요

U = 첨두시 용도별 건물연면적 1,000 m2당 주차발생량(대)

F = 용도별 건물연면적(m2)

e = 주차이용효율(%)

(2)
e=이용대수균주시간용량장운영시간

2.1 국내 통계자료 분석을 통한 화물 물동량 분석

주차이용대수 및 주차용량, 평균주차시간에 대해 국내의 통계자료를 이용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식 (2)에서의 주차이용대수를 유추해내기 위한 국내 항만의 컨테이너 화물 처리 현황을 분석하였다. Fig. 2는 1998년부터 2021년까지의 항만 컨테이너 처리량(PORT-MIS, 2022)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전체 컨테이너 처리량에서 항만 내부에서의 물류 이동인 환적을 제외한 수치(수출+수입+내항)를 모두 합산하여 전체 항만, 부산항, 인천항의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2009년 경제위기와 COVID-19로 인한 단기적인 감소를 제외하면 국내 컨테이너 화물 처리량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며, 2018년에는 1998년 대비 처리량이 2배 이상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현재 각 항만에서 발생하는 화물 주차공간의 부족 사태는 항만 건설 당시의 주차장 설계 시 산정한 주차수요량을 넘어서는 현재의 물류 처리량이 주요 원인으로 사료된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jkai/2022-012-01/N0850120108/images/jkai_12_01_08_F2.jpg
Fig. 2.

Container cargo handling status (1998-2021)

따라서, 국가교통DB자료(KTDB, 1999-2019)에서 실시한 “교통 유발원 단위조사”에서 항만 화물자동차 주차장에 관한 내용을 분석하기 위해 조사실시대상 지역, 조사시설 용도 및 주차용량 내용의 포함 여부를 정리하여, 아래 Table 1과 같이 나타내었다. Table 1을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항만 시설에 대한 화물자동차 주차원단위 조사는 다른 교통유발원단위 조사보다 우선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분석자료 중 대부분에서 주차장은 각 용도시설의 부속건물 혹은 건축 대상 시설물의 교통영향평가 요소 중 하나로써 계산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1999~2000년에 작성된 문서에서 기준주차면 당 주차면적이 당시 주차장법 시행규칙에 의거 21.9 m2로 책정된 사실을 확인하였으나, 이는 당시 주차장 설계 시 이륜차, 승용차 등의 소형자동차의 최소 주차 단면적으로 확인되었다(MOF, 2020). 유일하게 주차장에 대한 집중적인 분석이 이루어진 2000년~2001년 실시된 조사에서도 일반 승용차 주차장에 대해 국한된 범위로 인해 항만 화물자동차 주차장에 대한 세부적인 자료를 얻지 못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에서 실시되었던 원단위조사는 소형차량 및 소형차량에 의한 수요가 집중된 시설 위주로 진행되었으며, 대형차량 및 임항교통시설에 대한 원단위조사는 현재로서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사실을 확인하였다.

Table 1.

Summary of “traffic source unit survey” (1999-2019)

Published
year
A section of inquiry Parking Capacity
1999 Busan, Daegu, Gwangju, Daejeon, Ulsan 14 types of use of survey facilities Parking area > 21.9 m2
× Total number of
parking spaces
2000 Seoul, Incheon, Suwon 17 types of use of survey facilities
2001 Jeonju, Jeju, Changwon,
Cheongju, Chuncheon
17 types of use of survey facilities -
2010 Seoul, Incheon, Suwon, Busan, Daejeon,
Gwangju, Daegu, Ulsan, Cheongju,
Jeonju, Changwon
Department store, Office -
2011 Seoul, Incheon, Suwon, Busan, Daejeon,
Gwangju, Daegu, Ulsan, Cheongju,
Jeonju, Changwon, Chuncheon
A supermarket, Office -
2012 Seoul, Busan, Incheon, Daegu, Daejeon,
Gwangju, Ulsan, Changwon, Suwon,
Cheongju, Jeonju, Jeju, Paju, Chuncheon,
Asan, Yangsan, Mokpo, Gyeongsan
Spectator and assembly facilities,
Business facilities,
Large medical facilities, Large sales
facilities, Large accommodation facilities
-
2014 Seoul, Incheon, Daejeon, Daegu,
Gwangju, Busan, Ulsan
5 types of multi-use facilities -
2018 Seoul, Sejong Facilities that can apply
advanced research
-
2019 Seoul, the metropolitan area Representative facilities among the
five use facilities
-

- : N/A

2.2 화물차 주차장 소요면적 분석

본 연구에서는 화물차 주차면적의 산정 기준을 파악하고자 주차장 관련 내용등을 문헌분석하였다. Table 2는 각 자료별 대형차량 및 특수대형(Semi-Trailer)차량에 대해 주차각도에 따른 주차 소요면적 및 각각의 주차구획에 대해 정리한 표이다. Table 2에서와 같이 2020년 12월을 기점으로 화물자동차에 해당하는 대형차, 특수대형차, 하역장비 등의 주차장 규모 및 공간 확보 근거 마련 개정(MOF, 2020)이 시행되었다. 인천광역시, 부산광역시 주차장 설치 및 관리 조례(2022)에서 항만배후단지 노외주차장 확보와 함께 창고시설의 경우에는 시설면적 400 m2당 한 대의 차량을 주차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주차 소요면적에 대한 적정성 검토도 추후 필요한 현실이다.

Table 2.

Parking lot area

(a) Comparison of large vehicle parking area requirements
Publications Large vehicle
Minimum required parking area according to the parking angle (m2) Parking lot (m)
30° 45° 60° 90° Parallel Width Length
EX (2009) 128.7 118.2 120.9 143.0 125.0 2.5 13.0
MOLTMA (2012) - - - - - 3.25 13.0
MOLIT (2016) - - - - - 2.5 13.0
MOLIT (2018) - - - - - 2.5 13.0
MOF (2020) 125.5 115.0 117.8 139.8 118.8 3.25 13.0~14.0
Incheon (2022) Securing 0.6% of off-street parking lots
Warehouse: 1 unit per 400 m2 (facility area/400 m2)
Busan (2022)
(b) Comparison of specific large vehicle (Semi-Trailer) parking area requirements
Publication Specific large vehicle (Semi-Trailer)
Minimum required parking area according to the parking angle (m2) Parking lot (m)
30° 45° 60° 90° Parallel Width Length
EX (2009) - - - - 169.0 2.5 16.7
MOLTMA (2012) - - - - - - -
MOLIT (2016) - - - - - 2.5 16.7
MOLIT (2018) - - - - - 2.5 16.7
MOF (2020) 199.5 190.0 182.0 182.0 162.5 3.5 17.0~18.0
Incheon (2022) Securing 0.6% of off-street parking lots
Warehouse: 1 unit per 400 m2 (facility area/400 m2)
Busan (2022)

2.3 국내 물류처리량 통계 분석을 통한 화물 적재 시간 분석

본 연구에서는 국내 물류처리량에 따라 항만에서의 화물 적재 시간을 분석한 문헌들을 정리분석하였다. 물류거점 화물실태조사(KOTI, 2019)에 따르면 국내 항만배후단지에서의 외부 물류 시설에서의 입·출하에 대해 철도CY(Container Yard) 이용률은 0%였다. 따라서 화물 적재 시간은“항만 단지 내의 모든 화물은 화물차를 통해 운송된다”는 가정에 따르면 부산 신항만 2부두(PNC) 컨테이너 연간처리량을 바탕으로 산출한 시간당 화물차 대수를 분석하고 있다(Ahn, 2015; Choi, 2018).

부산 신항만 2부두의 컨테이너 연간 처리량 및 일 최대처리량을 기준으로 화물을 야적장에서 처리하는 총 69대의 T/C(Transfer crane)의 개수로 나누어 산정한 크레인 1대당 하루 처리 컨테이너 수와 1시간에 처리 가능한 컨테이너 수(크레인 1대당)로서 화물차 한 대당 약 12분의 대기시간이 추정되었다. 이와 같은 문헌분석결과를 토대로 최근의 화물 물동량을 통계분석하여 항만부지면적 대비 필요한 주차장 소요대수를 산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오히려 물동량 처리기술의 발전으로 부두에 도착하여 대기하는 차량이 많아짐에 따라 대기시간이 길어지고 있어 주차장이 부족해지고 주변 일반도로에 불법주정차가 더 많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문헌결과를 토대로 추후 추가 연구를 통하여 항만부지면적 대비 필요한 주차장 소요대수를 현실화할 필요성이 있다.

Table 3.

Busan New Port (PNC) container annual throughput (2010~2017)

Index 2010 2011 2012 2013 2014 2017 Avg.
Annual throughput (1,000 TEU) 2,389 3,219 3,277 3,299 3,894 4,531 3,435
Daily throughput (TEU) 6,545 8,819 8,978 9,038 10,668 12,414 9,411
Daily throughput per crane (TEU) 95 128 130 131 155 180 136
Throughput per hour per crane (TEU) 4 5 5 5 6 7 6
Waiting time (hour) 0.25 0.2 0.2 0.2 0.16 0.14 0.18

3. 화물차휴게소 문헌 분석 자료의 비교분석

화물차휴게소의 경우, 고속도로 교통량 흐름에 따라 화물차휴게소 주차장 면적을 산정하고 있으며, 졸음쉼터 주차장의 경우 이를 활용하고 있다. 아래의 식은 도로공사에서 규정한 휴게소 주차장 면적 산출기준이다(EX, 2009; MOLIT, 2017).

(3)
면수()=설계교×이용률×(잡률전율)

여기서,

(3-1)
이용률:이용량대수(/)본선교(/)
(3-2)
잡률:잡시간대이용대수(/)일이용량대수(/)×100
(3-3)
전율:1시간()균주시간()

본 연구에서는 2.3절에서 분석한 항만의 시간당 화물차 수에서 Table 4의 화물차휴게소 주차장 설계방법을 이용하여 연평균 일 화물차 교통량을 추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기존의 화물차휴게소에서 사용하는 주차면적을 구하여 Table 3의 주차시간 분석 및 식 (1), (2), (3)을 통해 산출한 주차면적을 서로 단순 비교분석하였다. Table 5는 실제 교통량 분석이 아닌 TEU를 통해 간접적으로 추정한 교통량으로, 본 연구에서의 산출된 주차면적과 주차면수, 화물차휴게소 주차장 설계기준을 따른 주차면적 및 주차면수이다. 산출된 총 주차면적을 조례에 규정된 법정주차대수 면적인 400 m2, 대형 화물차가 60°로 주차할 시의 면적인 117.8 m2, 특수대형 화물차가 60°로 주차할 시의 면적인 182 m2를 이용하여 각각의 주차수요를 추정하였다.

비교분석 결과, 전체적인 주차면적의 경우 법정주차면적으로 추정한 수치가 화물차휴게소보다 4.7배 더 큰 경향을 보였다. 추정된 주차수요의 경우 화물차휴게소의 주차장 면적 설계 시의 주차수요보다 400 m2에서는 1대 작게, 182 m2와 117.8 m2에서는 각각 236대, 151대 많게 나타났다. 주차장 점유율의 경우 본 연구에서 추정한 수치는 평균 86%로 나타났다. 화물차휴게소의 경우 최대 117.3%(공급부족), 최소 34.5%(공급과잉)로 편차가 큰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항만주차장의 경우, 이후 수요추정 시 실제 교통량 조사를 통해 실제 값을 이용하여 주차 소요면적 산정을 통해 적정 주차면수 제시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Table 4.

Calculation of the parking area of ​​the freight vehicle service area

Publications Content
EX (2009) Freight vehicle traffic in the section adjacent to the service area: T
(the number of vehicle/day/peak)
Parking area
(m2)
5,000 > T 5,397
5,000 < T ≤ 7,000 7,408
7,000 < T ≤ 9,000 9,297
9,000 < T ≤ 11,000 11,498
11,000 < T ≤ 13,000 13,508
13,000 < T ≤ 15,000 15,688
15,000 < T ≤ 18,000 18,593
18,000 < T ≤ 21,000 21,789
21,000 < T ≤ 24,000 24,863
24,000 < T ≤ 27,000 27,890
27,000 < T ≤ 30,000 31,085
30,000 < T 34,160
T = (Two-way planned traffic volume after 10 years of public commencement) ×
0.5 × (Service factor)
Average annual daily freight vehicle traffic:
Q (two-way/day)
Service factor
0 < Q ≤ 9,000 1.4
9,000 < Q ≤ 18,000 1.65 - Q × 10(-5)
18,000 < Q 1.15
Table 5.

Comparison of parking area, demand, and number of available parking spaces

(a) Estimates from study
Index Unit parking area (m2) Note
400 117.8 182
Parking area (m2) 46,099.26 Estimation of traffic
volume using TEU
Parking efficiency (e) 0.85 0.22 0.34
Parking demand 99 336 218
Number of units available for parking 115 391 253
Parking lot occupancy (%) 86 85.9 86.1
(b) Freight vehicle service area
Index Unit parking area (m2) Note
400 117.8 182
Parking area (m2) 34,160 Estimation of traffic
volume using TEU
Parking utilization rate 0.171
Parking turnover 2 1.8
Parking congestion rate 0.08 0.06
Parking demand 100 67
Number of units available for parking 85 290 188
Parking lot occupancy (%) 117.3 34.5 36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현재 주차장 설계시 사용되고 있는 주차면수 산정식의 주차보정계수에 대해 기존의 문헌 및 연구 결과, 국내 물동량 통계 및 시행령의 변화 등에 기초하여 항만 화물차 주차장의 주차량 산정 방식의 개선 방법을 검토하였다.

1) 현재 각 항만에서 발생하는 주차부족 사태는 1998년과 2018년 사이의 물동량 차이가 2배가량 증가하여 인해 항만 설계 시 산정한 주차 수요가 현실화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2) 국내 문헌 분석 결과 항만주차장에 대한 교통량 추정 및 원단위 분석 연구가 미비함을 확인하였다. 항만주차장은 다른 시설물들의 교통원단위 추정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선시되지 않는 경향을 보이므로 이에 대한 추가 조사분석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3) 화물 적재시간의 문헌분석결과, 화물차 한 대당 약 12분의 대기시간이 소요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최근의 화물 물동량을 통계분석하여 항만부지면적 대비 필요한 주차면수를 산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오히려 물동량 처리기술의 발전으로 부두에 도착하여 대기하는 차량이 많아짐에 따라 대기시간이 길어지고 있어 주차장이 부족해지고 주변 일반도로에 불법주정차가 더 많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문헌결과를 토대로 추후 추가 연구를 통하여 항만부지면적 대비 필요한 주차면수를 현실화할 필요성이 있다.

4) 본 연구에서 추정한 주차수요의 비교 결과 법정주차면적이 400 m2일 때보다 117.8 m2, 182 m2에서 더 큰 차이를 보였으며, 화물차휴게소 대비 최대 +51.4%p의 주차장 점유율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항만주차장의 경우, 이후 수요추정 시 실제 교통량 조사를 통해 실제 값을 이용하여 주차 소요면적 산정을 통해 적정 주차면수 제시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점차 증가하는 화물물동량 중가를 고려한 현실에 맞는 주차수요를 추정하기 위해 진행하였으며, 원단위나 교통량 추정과 같은 사항에서는 아직까지 추가적인 연구가 많이 필요한 실정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후 항만주차장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항만 인근 주차난의 해소 및 불법주차로 인한 도로파손의 예방, 적정 예상 통행량 산출에 의한 항만주차장 포장 공용성의 추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해양수산부/한국항만협회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으며, 이에 관계자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Ahn, T.H. (2015).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Proper Port Loading Capacity - Centering on container terminals, NABO, National Assembly Budget Office.
2
Busan (2022). Busan city parking lot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rdinance.
3
Choi, S.W. (2018). A Study on Cost Functions and Technical Efficiency of the Korean Container Terminals, KMI, Korea Maritime Institute.
4
EX (2009). Road Design Guidelines : Volume 6, Road Safety·Ancillary Facilities and Environment,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5
FDOT (2019). District Five Truck Parking Study, Florid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6
Incheon (2022). Incheon city parking lot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rdinance.
7
IPA (2009). Management of the new port hinterland, operation plan research service, Incheon Port Authority.
8
IPA (2017-2021). Status of Rear Site of Incheon Port 2016, Incheon Port Authority.
9
Klnews (2022). “Incheon Port Container Cargo Volume in 2021 Breaking the Annual Record”.
10
KOTI (2019). Logistics base cargo condition survey,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11
KTDB (1999-2019). Traffic source unit survey, Korea Transport Database.
12
MOF (2020). KDS 64 90 20 : 2020, “Transportation facilities in port”,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13
MOF (2022). Container volume recovered to pre-coronavirus in 2021,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14
MOLIT (2016). MOLIT Notice No. 2016-29 : “Traffic impact assessment guidelines”,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15
MOLIT (2016, 2018). KDS 44 70 05 : 2018 “Parking lot, etc”,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16
MOLIT (2017). MOLIT Regulations No. 2017-167 : “Guidelines for the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f highway drowsiness shelters”,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17
MOLTMA (2012). Road Design Criteria,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18
Port of Oakland, City of Oakland (2019). West Oakland Truck Management Plan, Port of Oakland, City of Oakland.
19
PORT-MIS (2022). Container cargo handling status (1998~2021),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