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nical Notes

Journal of the Korean Asphalt Institute. 18 July 2022. 1-15
https://doi.org/10.22702/jkai.2022.12.1.1

ABSTRACT


MAIN

  • 1. 서 론

  • 2. 고점도 개질 아스팔트 바인더

  •   2.1 정의

  •   2.2 특성

  • 3. 휨 시험

  •   3.1 개발배경

  •   3.2 휨 시험과 칸타브로 시험의 연관성

  •   3.3 휨 시험 방법

  •   3.4 휨 시험 결과 해석

  •   3.5 휨 시험 적용을 통한 연구사례

  • 4. 결 론

1. 서 론

고점도 개질 아스팔트 바인더는 아스팔트 포장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고기능성포장에 사용된다(Cai et al., 2019; Habbouche et al., 2020; Hu et al., 2020; Qu et al., 2019; Scholten et al., 2011). 저온에서 바인더를 부드럽게 개질하여 열 균열에 대한 저항을 향상시켜 한랭지역의 포장에도 적용할 수 있다(熊谷政行 外 3名, 2011; 佐藤 大 外 2名, 2003; 布施 浩司 2名, 2012). 따라서 고점도 개질 아스팔트 바인더의 선정 및 적용 시 고온 및 저온에서의 공용성을 명확히 파악하여 이에 따른 시험방법 및 결과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이 요구된다. 현재 아스팔트 바인더는 미국 연방 도로국(Federeal Highway Administration, 이하 FHWA)의 전략적 도로연구사업(Strategic Highway Research Program, 이하 SHRP)의 PG(Performance Grade, 이하 PG)등급으로 고온, 저온에의 성능 등급을 규정하고 있다(Gibson et al., 2012; Petersen et al., 1994).

PG에서 바인더의 저온 성능을 결정짓는 주요 시험값인 크리프 강성(Creep Stiffness, 이하 S(t))과 크리프율(Creep Rate, 이하 m-value)은 개질 아스팔트의 경우 이를 규정하는 과정에서 개질재의 성능을 적절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연구사례가 있다(Gražulytė and Vaitkus, 2017; Hesp, 2004; Hesp et al., 2009; Klutzz and Dongré, 1997; Lu and Isacsson, 2000). 고점도 개질 아스팔트 바인더의 저온 성능 및 특성을 정확하게 예측·규명하기 위해 다수의 시험법이 개발·적용되었다(Gražulytė and Vaitkus, 2017; Kim, 2013; Lane, 2015; Radziszewski and Kowalski, 2014; Tabib et al., 2015; Zhao and Hsep, 2006).

그중 일본 도로공단 시험연구소와 일본 개질 아스팔트협회에서 공동연구를 실시하여 제안·개발된 휨 시험은 시편 제작 및 시험 수행이 간단하고 고점도 개질 아스팔트 바인더의 점결력 및 파악력을 잘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大野滋也 外 2名, 2002; 日本改質アスファルト協会技術委員会, 2021; 村山 雅人 and 濱田 幸二, 2005). 국내에서는 배수성 아스팔트 바인더의 성능평가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20).

본 논문은 고점도 개질 아스팔트 바인더에 사용되는 폴리머양과 칸타브로 시험의 결과가 휨 에너지, 휨 스티프니스간의 연관성을 소개하고, 시험 수행방법과 해석방법, 휨 시험을 적용한 기존 연구사례를 소개하였다.

2. 고점도 개질 아스팔트 바인더

2.1 정의

고점도 개질 아스팔트 바인더는 일반 개질 아스팔트보다 폴리머 개질제의 첨가량을 증가하여 생산된 바인더을 말하며, 유럽 및 미국에서는 고점도 개질 아스팔트 바인더의 정의를 점도로 구분하지 않고 바인더 내 분자구조가 변경 된 경우(연속상 물질이 바인더에서 폴리머로 상변화가 일어난 경우) 이를 고점도 아스팔트 바인더라 정의한다(Blazejowski et al., 2016; Blazejowski et al., 2019; Tang et al., 2021; Złotowska et al., 2021).

고점도 개질 아스팔트 바인더를 일본에서는 폴리머 개질아스팔트 H형(H형, H-F형)으로 불리고, 유럽 및 미국에서는 high polymer modified binder(HiMA, HMB 또는 HPMB)으로 명명된다(Blazejowski et al., 2016; Blazejowski et al., 2019; Tang et al., 2021; Złotowska et al., 2021; 広津 栄三郎 and 鈴木 紀章, 1994; 日本改質アスファルト協会, 2020).

2.2 특성

고점도 개질 아스팔트 바인더 제작으로 사용되는 개질제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인 SBS이다(Zhu et al., 2014; Zhu, 2016; 神谷愼吾, 2000). Fig. 1은 SBS 공중합체의 사슬구조를 묘사한 것이다(Zhu et al., 2014; Zhu, 2016).

SBS는 경질의 폴리스티렌 블록(Poly-Styrene Block, 이하 PS 블록) 2개와 연질의 폴리부타디엔 블록(Poly-Butadiene Block, 이하 PB 블록)이 2상으로 연결되어 있는 삼블록 사슬형태로 되어있다. SBS 사슬이 재결합되는 과정에서 아스팔트 바인더 내 말텐 성분을 SBS가 흡수하여 부피가 팽창하고 역청 내 고무와 비슷한 SBS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복합탄성계수(Complex modulus: |G*|) 및 점도가 증가하고 피로균열에 대한 저항성이 향상된다(Bonemazzi et al., 1996; Zhu et al., 2014; 神谷愼吾, 2000).

아스팔트 바인더 내 SBS 첨가량이 증가하면서 SBS 네트워크 크기가 점차 커지고 바인더 연속상에서 폴리머 연속상으로 분자구조의 변화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SBS 첨가량 증가에 따른 분자 구조의 변화를 통한 바인더의 개질화는 기존의 많은 연구 사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Zhu et al., 2014; 日本改質アスファルト協会, 2020).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jkai/2022-012-01/N0850120101/images/jkai_12_01_01_F1.jpg
Fig. 1.

Structure of SBS and schematic illustration of reversible crosslinks in SBS (Zhu et al., 2014; Zhu, 2016)

SBS 첨가량이 증가할수록(바인더 대비 약 4~7%) 바인더 내 말텐 성분을 흡수하여 폴리머 네트워크의 크기는 커지게 되어 아스팔트 내 분자 구조의 변화(개질화)가 빠르게 진행된다. SBS 첨가량이 바인더 대비 7% 이상으로 증가하면 그 분자 구조가 폴리머 연속상으로 변화되기 때문에 아스팔트 바인더의 분자구조의 변화(개발화)가 4~7% 대비 느려지게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 경우 SBS 첨가량에 따른 바인더 물성변화 곡선은 S자 모양을 형성하게 되며 원(原) 바인더의 재료 특성 및 첨가되는 개질제 종류 그리고 가교 조건에 따라 S자 곡선의 형상 및 기울기가 달라지는 특성을 보인다(Lu and Isacsson, 1997; Mieczkowski et al., 2021; Singh et al., 2018; Yan et al., 2020).

3. 휨 시험

3.1 개발배경

휨 시험은 일본에서 개발된 시험으로 1999년 일본도로공단(日本道路公団, Japan Highway Public Corporation, 이하 JH)과 일본 개질 아스팔트협회(日本改質アスファルト協会, Japan Modified Asphalt Association, 이하 JMAA)에서 공동연구를 실시하여 배수성 아스팔트 혼합물과 한랭지용 포장에 적용하는 고점도 개질 아스팔트 바인더를 평가하기 위하여 개발・제안하였다(大野滋也 外 2名, 2002; 日本改質アスファルト協会技術委員会, 2021; 村山 雅人 and 濱田 幸二, 2005). 배수성 아스팔트포장은 공극률을 20% 이상 확보할 수 있어 우수한 배수능력과 교통하중에 의한 소음저감, 우천시 시인성 향상 등의 장점이 있지만 포장 내 우수 침투 후 교통하중으로 인한 내부압력과 겨울철 포장 내 우수가 동결하여 발생하는 팽창응력 및 햇빛의 자외선이 포장내부로 침투하여 촉진되는 바인더의 노화현상이 골재-바인더간 결합력을 약화시켜 탈리, 골재 비산 현상 등이 발생한다(Ferguson, 2005).

배수성 아스팔트포장에서의 골재-바인더간 결합력을 강화시키고 피막두께 증가효과를 주기 위하여 고점도 개질 아스팔트 바인더를 적용하고 있으며 SBS 함량 변화에 따른 파악력과 점결력을 분석하여 고점도 개질 아스팔트 바인더를 채택하고 있다(熊谷政行 外 3名, 2011; 佐藤 大 外 2名, 2003; 布施 浩司 2名, 2012). 파악력 및 점결력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바인더 시험으로는 점도와 터프니스-테나시티(Toughness & Tenacity) 시험, 혼합물 시험으로는 칸타브로 시험을 실시한다(KS F 2491, 2017; 日本改質アスファルト協会技術委員会, 2021). 하지만 점도시험을 실시할 경우 SBS 첨가량이 높아 개질제의 입자로 인하여 점도계의 관막힘 현상이 발생하거나 시험 소요시간이 늘어나는 현상이 발생하고, 터프니스-테너시티 시험을 할 경우 높은 응집력과 탄성으로 인하여 인장 파단이 발생하기 전에 금속반구에서 탈구되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시험도중 절단되어 정확한 저온 특성을 규명할 수 없다(KS F 2491, 2017; 大野滋也 外 2名, 2002; 日本改質アスファルト協会技術委員会, 2021; 村山 雅人 and 濱田 幸二, 2005).

大野滋也 외 2인은 원 바인더에 SBS를 바인더 질량 대비 0, 3, 5, 7, 9, 12%를 첨가하여 개질 바인더 Type I,Type II, Type III와 고점도 아스팔트 바인더 Type H, Type H-F를 제작하고 4종의 혼합물 시험(칸타브로 시험, 마모시험, 휠트래킹시험, 회전 휠트래킹시험)과 7종의 기존 바인더 시험(바인더의 침입도, 연화점, 터프니스, 테나시티, 15°C 신도, 4°C 신도, 푸라스 취하점), 3종의 신규 바인더 시험(휨 시험, DSR, 탄성회복률)과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Table 1은 바인더 성능과 혼합물 시험의 상관관계 결과를 요약한 것이다(大野滋也 外 2名, 2002). SBS 첨가량이 5% 아스팔트 연속상일 때 칸타브로 시험과 일부 바인더 성능이 연관관계가 나타내었고 다른 혼합물 시험은 뚜렷한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3종의 신규 바인더 시험과 혼합물 성능을 비교한 결과 -20°C 이하에서 실시한 휨 시험과 칸타브로 시험이 뚜렷한 상관관계가 나타남을 발견하였다.

Table 1.

Correlation between binder and mixture test (大野滋也 外 2名, 2002)

Category Polymer
amount
Cantabro
loss
Amout of Abraison
(Ravelling)
Dynamic stability
(Wheel tracking)
Time of failure
(Rotating wheel tracking)
Polymer amount 1) Po◯2)3)
Exist Penentration ×4) × × × ×
Softening point As5) As◯ × × ×
Toughness As◯ As◯ × × ×
Tenasity As◯ As◯ × × ×
15°C Ductility × × × × ×
4°C Ductility As◯ As◯ × × ×
Fraass breaking point Po6)
New Flexural energy (-20°C) Po◯
DSR G* ◯ (0~30°C) ◯ (0~30°C) Po△ △ (0~30°C)
G*/sinδ △ (50~70°C) × × ×
Elastic recovery rate

1) ◎ : High correlation between range of polymer & results

2) ◯ : Correlation between range of polymer & results

3) △ : Partial correlation between range of polymer & results

4) × : No correlation between results

5) As : Asphalt phase (asphalt continuous phase, polymer amount 0~5%)

6) Po : polymer phase (polymer continuous phase, polymer amount 7~12%)

Fig. 2Fig. 3은 Type H형과 Type H-F형 바인더의 0°C 칸타브로 손실률과 휨 에너지 및 휨 스티프니스 관계를 나타낸 것이고, Fig. 4Fig. 5는 Type H형과 Type H-F형 바인더의 휨 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大野滋也 外 2名, 2002). 칸타브로 손실률과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일반용 고점도 바인더 Type H는 휨 에너지 0.09 MPa 이상, 휨 스티프니스는 500 MPa 이하이며, 한랭지용 고점도 바인도 Type H-F는 휨 에너지 0.4 MPa 이상, 휨 스티프니스 100 MPa 이하로 기준을 수립하였다.

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배수성 아스팔트포장용 혼합물 평가항목 중 하나인 칸타브로 손실률과 연관성이 높고, 고점도 아스팔트 바인더의 점결력 및 파악력을 정확히 평가할 수 있는 휨 시험을 연구하여 개발・제안하였다(髙橋茂樹, 2013; 古里典久 外 2名, 2001; 大野滋也 外 2名, 2002; 日本改質アスファルト協会技術委員会, 2021; 黄木秀実 外 3名, 2002; 村山 雅人 and 濱田 幸二, 2005).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jkai/2022-012-01/N0850120101/images/jkai_12_01_01_F2.jpg
Fig. 2.

Correlation between cantabro loss and flexural energy (Kang, 2022)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jkai/2022-012-01/N0850120101/images/jkai_12_01_01_F3.jpg
Fig. 3.

Correlation between cantabro loss and flexural stiffness (Kang, 2022)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jkai/2022-012-01/N0850120101/images/jkai_12_01_01_F4.jpg
Fig. 4.

Flexural energy according to the type of binder (Kang, 2022)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jkai/2022-012-01/N0850120101/images/jkai_12_01_01_F5.jpg
Fig. 5.

Flexural stiffness according to the type of binder (Kang, 2022)

3.2 휨 시험과 칸타브로 시험의 연관성

黄木秀実 외 3인과 髙橋茂樹는 휨 시험의 정확도와 칸타브로 시험과의 연관성을 높이기 위하여 일본 내에서 시판 중인 Type H, Type H-F 바인더를 이용하여 휨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양생 및 수행 온도조건에 따른 변동계수(Coefficient fo variations, 이하 CV)를 구하였다(髙橋茂樹, 2013; 黄木秀実 外 3名, 2002). Table 2는 휨 시험결과와 CV 결과를 보인 것이다. 동일 조건(양생 시간 및 온도)에서 휨 시험을 실시할 경우 시료 종류별로 20% 이하로 CV를 제어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추가적으로 일반 개질 아스팔트 Type II와 고점도 아스팔트 바인더 Type H, Type H-F로 혼합물을 제작하여 칸타브로 시험을 실시하고 휨 에너지 및 휨 스티프니스와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Fig. 6Fig. 7은 바인더 종류별 칸타브로 손실률과 휨 에너지 휨 스티프니스를 나타낸 것이다. 일반 개질아스팔트에 비해 고점도 아스팔트 바인더는 휨 에너지는 증가하고 휨 스티프니스와 칸타브로 손실률이 감소하는 양상이 발견되었다(髙橋茂樹, 2013; 黄木秀実 外 3名, 2002).

Table 2.

CV of flexural beam test (黄木秀実 外 3名, 2002)

Flexural energy Flexural stiffness
Conventional
conditions
Unified
conditions
Conventional
conditions
Unified
conditions
CV1) for each type of binder Type H - 30.7 - 9.5
Type H-F - 15.5 - 13.8

1) CV : Coefficient of variations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jkai/2022-012-01/N0850120101/images/jkai_12_01_01_F6.jpg
Fig. 6.

Correlation between flexural energy and cantabro loss (0°C) (Kang, 2022)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jkai/2022-012-01/N0850120101/images/jkai_12_01_01_F7.jpg
Fig. 7.

Correlation between flexural stiffness and cantabro loss (0°C) (Kang, 2022)

3.3 휨 시험 방법

휨 시험 방법은 한국산업표준(Korean Industrial Standards, 이하 KS)에 KS F 2491에 명시되어있다(KS F 2491, 2017). Fig. 8은 휨 시료 제작 몰드의 구조와 사진을 보인 것이다(日本改質アスファルト協会技術委員会, 2021; 舗装調査・試験法便覧 A063, 2019). 일반적으로 휨 시험용 몰드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한 번에 5~6개의 시료를 제작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몰드를 조립하기 전에 모든 부품에 이형제를 도포하여야 하는데 이는 시료가 몰드에 부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용융된 아스팔트를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몰드 내에 붓고, 실온에서 90분 이상 방치한다. 방치된 시료를 저온 항온조에 넣고 공시체 표면온도가 약 0~5°C가 될 때까지 양생을 시킨 후 꺼내어 시료의 표면정리작업으로 잔여 아스팔트를 제거한다. 최종적으로 표면정리작업을 마친 시료는 저온 항온조에서 -20°C에서 약 10분, 또는 5°C에서 약 30분 정도 양생을 시킨 후 공시체를 탈형한다. 저온 항온조에서 양생을 시킨 후 탈형하는 이유는 고점도 아스팔트 바인더는 상온에서도 점도 및 바인더간 응집력이 매우 높아 탈형시 시료가 파손될 수 있기 때문이다. 탈형한 시료는 시험 수행온도에서 약 6시간 동안 양생을 시킨다. 한 번 시험당 최소 3개의 시료를 준비하여야 하며, 시험 전 각 시험시료들의 무게 및 관련 변동계수를 측정한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jkai/2022-012-01/N0850120101/images/jkai_12_01_01_F8.jpg
Fig. 8.

Fig. 9는 휨 시험기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6시간 이상 양생시킨 시료의 무게측정을 실시한 후 중앙부에 10 kN 용량의 로드셀이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100 mm/min의 재하속도로 하중을 재하시켜 최대 하중에 도달할 때까지 변위(mm)와 하중(N)을 측정한다. 로드셀 및 지지대 끝은 원형으로 처리하여 하중재하로 인해 접촉부 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시료 내부의 온도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저온챔버에서 시편을 꺼낸 직후 20초 이내에 시험을 종료한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jkai/2022-012-01/N0850120101/images/jkai_12_01_01_F9.jpg
Fig. 9.

Cross-section of flexural beam tester (Kang, 2022)

3.4 휨 시험 결과 해석

휨 시험으로 시료가 파괴되거나 최대하중이 기록될 때까지 하중, 변위, 시간이 기록되며 기록된 변위와 하중으로 변위-하중 그래프를 도식하여 해석을 실시한다. Fig. 10은 휨 시험의 변위-하중 그래프를 보인 것이다. 최대 하중 P와 최대 하중까지의 변위량 d를 구하여 식 (1)(2)처럼 최대 휨 응력과 최대 휨 변형을 구한다. 변위량 d는 하중이 측정되는 초기부분을 접선보정을 실시하여 구한다. 휨 에너지는 식 (3)으로 구하며 최대 휨 응력 σmax와 최대 휨 변형률 εmax의 곱으로 계산하며, 바인더의 휨 파괴에 필요한 에너지량 의미한다. 휨 에너지가 큰 바인더는 파괴에너지가 크고, 휨 에너지가 작은 바인더는 상대적으로 작은 에너지로도 파괴된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jkai/2022-012-01/N0850120101/images/jkai_12_01_01_F10.jpg
Fig. 10.

Displacement versus load curve (Kang, 2022)

휨 스티프니스는 식 (4)를 바탕으로 구하며 최대 휨 응력 σmax를 최대 휨 변형률 εmax로 나눈 값으로 최대하중에 도달하기까지 응력과 변형의 비를 의미한다. 시료에 하중이 재하되었을 때 변형률이 작으면 휨 스티프니스가 커져 취성파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저온 영역에서 휨 스티프니스가 작은 바인더는 저온에서도 유연성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이 경우 휨 스티프니스는 값이 작을수록 바람직하다.

(1)
δmax=3L2bh2P
(2)
εmax=6LL2d
(3)
FlexuralEnergy(MPa)=δmax×εmax
(4)
FlexuralStiffness(MPa)=δmaxεmax

여기서,

δmax : 최대 휨 응력, MPa

εmax : 최대 휨 변형률, mm

b : 시편의 폭, 20 mm

h : 시편의 두께, 20 mm

L : 시편의 지지점 간 거리, 80 mm

P : 최대 하중, N

d : 최대 하중시 변위량, mm

3.5 휨 시험 적용을 통한 연구사례

2010년 일본토목연구소(日本土木硏究所, Public works research institute, 이하 PWRI)에서는 포장용 바인더의 다양화, 고성능화가 진행되면서 새로운 바인더 평가 방법의 제안을 목적으로 ‘효율적 도로 기반 정비를 위한 설계방법의 고도화 연구’를 진행하였다(西崎到 外 2名, 2010). 수행온도(-25°C~10°C) 및 재하속도(5~100 mm/min)를 변경하여 휨 시험을 실시하였다. Table 3은 PWRI에서 사용한 시료를 정리한 것이다. Fig. 11은 수행온도에 따른 휨 시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시료의 파단이 발생하는 온도를 휨 취하점이라 정의하였고, Si계 개질아스팔트 바인더는 2.5°C에서 휨 취하점이 발생하였고 Type H의 경우 -5°C에서 휨 변형이 시험한계인 ε = 300 × 10-3에 도달하였음을 보고하였다. 다만 휨 시험의 재하속도를 변경하여 휨 시험을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발견을 하지 못하였다.

Table 3.

Specimen type (西崎到 外 2名, 2010)

Base Asphalt Index Describe Polymer amount (%)
Si
(Propane de-asphalt)
Si asphalt binder 60/80 0.0
IIi Polymer modified binder Type II (with PDA) 4.6
IIIi High viscosity binder Type III (with PDA) 6.0
Hi High viscosity binder Type H (with PDA) 8.0
Ss
(Straight asphalt)
Ss asphalt binder 60/80 0.0
IIs Polymer modified binder Type II 5.0
IIIs High viscosity binder Type III 6.7
Hs High viscosity binder Type H 8.5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jkai/2022-012-01/N0850120101/images/jkai_12_01_01_F11.jpg
Fig. 11.

The results of flexural beam test by temperature (西崎到 外 2名, 2010)

黄木秀実 외 3인과 髙橋茂樹는 SBS 증가량에 따른 고점도 아스팔트 바인더의 휨 시험의 결과값과 기능성 포장의 공용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髙橋茂樹, 2013; 黄木秀実 外 3名, 2002). 이를 위해 다양한 고점도 아스팔트 바인더를 이용하여 공시체를 제작 후 일본고속도로주식회사(Nippon Expressway Company Limited, 이하 NEXCO)의 주행시뮬레이터 시험을 실시하였다(Fig. 12). 시뮬레이터 시험은 50°C에서의 흐름값과 0°C에서 체인에 의한 마모율 등 2가지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휨 에너지가 커지면 흐름값이 줄어들며 마모율이 감소하는 것을 확였고, 이와 반대로 휨 스티프니스가 증가하면 흐름값이 증가하고 마모율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SBS 첨가량의 증가는 제한된 범위 내에서 바인더 및 혼합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BS 첨가량의 증가는 저온에서의 취성이 개선되는 동시에 고온에서의 점탄성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저자들은 휨 시험은 기능성 포장의 혼합물의 성상과의 상관성이 높아 고점도 아스팔트 성능 평가 및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바인더 성상을 밝힐 수 있을 것이라 언급하였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jkai/2022-012-01/N0850120101/images/jkai_12_01_01_F12.jpg
Fig. 12.

Accelerated pavement test machine (Kang, 2022)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고점도 개질 아스팔트 바인더에 사용되는 폴리머 양과 칸타브로 시험의 결과가 휨 에너지, 휨 스티프니스간의 연관성을 소개하고, 시험 수행방법과 해석방법, 휨 시험을 적용한 기존 연구사례를 소개하였다.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 할 수 있었다.

1) 폴리머 양이 증가할수록 휨 에너지 및 터프니스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칸타브로 손실률은 폴리머 양과 휨 에너지가 증가할수록 감소한다.

2) 휨 에너지가 클수록 휨 파괴에 대한 저항이 커지게 되며, 일본 개질아스팔트협회 기준에 따르면 -20°C에서 0.4 MPa 이상이 되어야 한다.

3) 휨 시험을 이용하면 폴리머 양과 혼합물의 칸타브로 손실률과의 상관관계 예측이 가능하다.

4) 현재 국내에서 사용 중인 휨 시험 기준은 일본 개질아스팔트협회 기준으로 국내 기후 및 교통 조건에 맞도록 추가적인 연구를 실시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품질기준을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References

1
Blazejowski, K., Wójcik-Wiśniewska, M., Baranowska, W. and Ostrowski, P. (2019). Highly modified binders ORBITON HiMA Application Guide 2019, ORLEN Asphalt, Poland, pp. 1-30.
2
Blazejowski, K., Wójcik-Wiśniewska, M., Peciakowski, H. and Olszacki, J. (2016). "The Performance of a Highly Modified Binders for Heavy Duty Asphalt Pavements", ELSEVIER, Transportation Research Procedia, 14, pp. 679-684. 10.1016/j.trpro.2016.05.331
3
Bonemazzi, F., Braga, V., Corrieri, R., Giavarini, C. and Sartori, F. (1996). "Characteristics of Polymers and Polymer-Modified Binder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1535, pp. 36-47. 10.1177/0361198196153500106
4
Cai, J., Song, C., Zhou, B., Tian, Y., Li, R., Zhang, J. and Pei, J. (2019)."Investigation on high viscosity asphalt binder for permeable asphalt concrete with waste materials", ELSEVIER, Jorunal of Cleaner Production, 228, pp. 40-51. 10.1016/j.jclepro.2019.04.010
5
Ferguson, B.K. (2005). Porous Pavements, Taylor & Francis, CRC Press, Boca Raton, pp. 1-600.
6
Gibson, N., Qi, X., Shenoy, A., Al-Khateeb, G.M., Kutay, E., Andriescu, A., Stuart, K., Youtcheff, J. and Harman, T. (2012). FHWA-HRT-11-045; Performance Testing for Superpave and Structural Validation,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McLean, Virginia, pp. 1-233.
7
Gražulytė, J. and Vaitkus, A. (2017). "Analysis of Methods and Criteria for Evaluation of Bitumen Performance at Low Temperatures", Environmental Engineering 10th International Conference, Vilnius Gediminas Technical University, Lithuania, pp. 1-8. 10.3846/enviro.2017.137
8
Habbouche, J., Hajj, E.Y., Sebaaly, P.E. and Piratheepan, M. (2020). "A critical review of high polymer modified asphalt binders and mixtures, Taylor&Francis", International Journal of Pavement Engineering, 21(6), pp. 686-702. 10.1080/10298436.2018.1503273
9
Hesp, S.A.M. (2004). Final Report for Highway IDEA Project 84; Development of a Fracture Mechanics-Based Asphalt Binder Test Method for Low Temperature Performance Prediction,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Washington, D.C., pp. 1-146.
10
Hesp, S.A.M., Soleimani, A., Subramani, S., Phillips, T., Smith, D., Marks, P. and Tam, K.K. (2009). "Asphalt pavement cracking: analysis of extraordinary life cycle variability in eastern and northeastern Ontario", Taylor&Francis, International Journal of Pavement Engineering, 10(3), pp. 209-227. 10.1080/10298430802343169
11
Hu, M., Sun, G., Sun, D., Zhang, Y., Ma, J. and Lu, T. (2020)." Effect of thermal aging on high viscosity modified asphalt binder: Rheological property, chemical composition and phase morphology", ELSEVIER,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41, pp. 1-13. 10.1016/j.conbuildmat.2020.118023
12
Kang, I.H. (2022). Evaluation of Low Temperature Performance of High Viscosity Asphalt Binder by Means of Mathematical Modeling Approach,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Nowon-gu, Seoul, pp. 1-45.
13
Kim, S.S. (2013). Research Pays off; The Asphalt Binder Cracking Device Test,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TR-NEWS, 284, pp. 51-53.
14
Klutzz, R.Q. and Dongré, R. (1997). Effect of SBS Polymer Modification on the Low-Temperature Cracking of Asphalt Pavements, Asphalt Science and Technology, CRC Press, New York, pp. 217-233.
15
KS F 2491 (2017). Standard test method for the flexural beam test for asphalt binder,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orea Industrial Standards Commission.
16
Lane, B. (2015), Presentation Paper; Addressing Asphalt Cement Quality Concerns, MEA 2015 Annual Conference & AGM, Municipal Engineers Association.
17
Lu, X. and Isacsson, U. (1997). "Rheological Characterization of Styrene-Buta- diene-Styrene Copolymer Modified Bitumens", ELSEVIER,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11(1), pp. 23-32. 10.1016/S0950-0618(96)00033-5
18
Lu, X. and Isacsson, U. (2000). "Laboratory Study on the Low Temperature Physical Hardening of Conventional and Polymer Modified Bitumens", ELSEVIER,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14(2), pp. 79-88. 10.1016/S0950-0618(00)00012-X
19
Mieczkowski, P., Budziński, B., Słowik, M., Kempa, J. and Sorociak, W. (2021). "Experimental Study of Tensile Properties of Styrene-Butadiene-Styrene Modified Asphalt Binders", Materials, 14(7), pp. 1-22. 10.3390/ma1407173433916170PMC8037092
20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20). Guidelines for the production and construction of porous asphalt concrete pavement.
21
Petersen, J.C., Robertson,, Branthaver, J.F., Harnsberger, P.M., Duvall, J.J. and Kim, S.S. (1994). SHRP-A-370; Binder Characterization and Evaluation Volume 4:Test Methods, Strategic Highway Research Program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pp. 1-102.
22
Qu, L., Gao, Y., Yao, H., Cao, D., Pei, G., He, B., Duan, K. and Zhou, W. (2019). "Preparatio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High-Viscosity and Elastic Recovery Modified Asphalt Binder", Hindawi, Advances in Civil Engineering, 2019, pp. 1-16. 10.1155/2019/6070685
23
Radziszewski, P. and Kowalski, K.J. (2014). "Quality Assessment of Bituminious Binders based on the Viscoelastic Properties: Polish Experience, Vilnius Gediminas Technical University",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 Management, 20(1), pp. 111-120. 10.3846/13923730.2013.843586
24
Scholten, E.J., Scholten, E.J., Timm, D.H., Willis, J.R., Powell, R., Kluttz, R.Q. and Vonk, W.C. (2011). Accelerated Loading Test Results of Two NCAT Sections with Highly Modified Asphalt, Australian Asphalt Pavement Association, 14th AAPA International Flexible Pavements Conference, Sydney, New South Wales, Australia, pp. 1-17.
25
Singh, S.K., Kumar, Y. and Ravindranath, S.S. (2018). "Thermal degradation of SBS in bitumen during storage: Influence of temperature, SBS concentration, polymer type and base bitumen", ELSEVIER, Polymer Degradation and Stability, 147, pp. 64-75. 10.1016/j.polymdegradstab.2017.11.008
26
Tabib, S., Hoque, F. and Marks, P. (2015). Ontario's Strategy to Enhance Asphalt Cement Quality, Proceedings to the 60th Annual Conference of the CTAA, Canadian Technical Asphalt Association, Manitoba, pp. 325-345.
27
Tang, N., Huang, W. and Hao, G. (2021). "Effect of aging on morphology, rheology, and chemical properties of high polymer modified asphalt binders", ELSEVIER,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81, pp. 1-11. 10.1016/j.conbuildmat.2021.122595
28
Yan, C., Huang, W., Zheng, M., Zhang, Y. and Lin, P. (2020). "Influence of ageing on high content polymer modified asphalt mixture stripping, Cracking and Rutting Performances", Taylor & Francis, Road Materials and Pavement Design, 22(1), pp. 1-18. 10.1080/14680629.2020.1727769
29
Zhao, M.O. and Hsep, S.A.M. (2006). "Performance grading of the Lamont, Alberta C-SHRP pavement trial binders", Taylor & Francis, International Journal of Pavement Engineering, 7(3), pp. 199-211. 10.1080/10298430600715667
30
Zhu, J. (2016). Storage Stability and Phase Separation Behaviour of Polymer-Modified Bitumen; Characterization and Modeling, Ph.D Thesis, KTH Royal Institute of Technology, Stockholm, Sweden, pp. 6-81.
31
Zhu, J., Birgisson, B. and Kringos, N. (2014). "Polymer modification of bitumen: Advances and challenges", ELSEVIER, European Polymer Journal, 54, pp. 18-38. 10.1016/j.eurpolymj.2014.02.005
32
Złotowska, M., Nagórski, R. and Błażejowski, K. (2021). "Concept of Similarity Method for Prediction of Fatigue Life of Pavement Structures with HiMA Binder in Asphalt Layers", MDPI, Materials, 14(3), 480. 10.3390/ma1403048033498367PMC7864019
33
髙橋茂樹 (2013). 高速道路におけるポーラスアスファルトの導入効果の検証と基層の脆弱化に関する研究, 博士論文, 北海道大学, 北海道, 日本, pp. 1-132.
34
古里典久, 石川 洋 and 小澤光一 (2001). "高粘度改質アスファルトの性状評価およびそれらの混合物性状に及ぼす影響", 日本土木学会, 土木学会舗装工学論文集, 6, pp. 61-68.
35
広津 栄三郎 and 鈴木 紀章 (1994), 改質アスファルトに特有の規格·試験法, 日本改質アスファルト協会, 改質アスファルト, 37(181), pp. 14-27.
36
大野滋也, 本松資朗 and 高原健吾 (2002). 高粘度改質アスファルトの新たな評価手法の開発, NEXCO総研 高速道路技術センター, 技術情報誌 EXTEC (Expressway Technology Center), 65, pp. 32-35.
37
西崎到, 新田弘之 and 加藤祐哉 (2010). 舗装路面の性能評価法の高度化に関する研究(2), 土木研究所, 平成22年度重点プロジェクト研究報告書, 9(3), pp. 1-21.
38
神谷愼吾 (2000). アスファルト/スチレン系ブロック共重合体 混合物の相溶性とミクロ構造及びその応用, 静岡大学, 静岡大学, 静岡, 日本, pp. 1-4109.
39
熊谷政行, 丸山記美雄, 安倍隆二 and 布施浩司 (2011). 積雪寒冷地における環境負荷低減舗装技術に関 する研究, 土木研究所, 平成23年度研成果報告書, 28, pp. 1-13.
40
日本改質アスファルト協会 (2020). ポリマー改質アスファルトポケットガイド(7版), 日本改質アスファルト協会, サンケイ総合印刷, pp. 4-99.
41
日本改質アスファルト協会技術委員会 (2021). バインダの曲げ試験方法導入背景と試験方法の紹介, https://www.jmaa.jp/pdf/test-mage.pdf (Online access : 2021.08.10.)
42
佐藤 大 and 岳本 秀人 and 安倍 隆二 (2003). "北海道における排水性 舗装の機能低下に関する一考察", 日本土木学会, 土木学会第58回年次学術講演会, V-661, pp. 1319-1320.
43
村山 雅人 and 濱田 幸二 (2005). 舗装技術の質疑応答 第9巻, 建設図書, pp. 206-210.
44
布施 浩司, 熊谷 政行 and 安倍 隆二 (2012). 積雪寒冷地における 低騒音舗装に関する検討, 寒地土木研究所, 平成23年度技術研究発表会, pp. 1-6.
45
舗装調査・試験法便覧 A063 (2019). ポリマー改質アスファルトの曲げ試験方法, 日本道路協會.
46
黄木秀実, 本松資朗, 高橋茂樹 and 上坂憲一 (2002), "改質アスファルトの新たな性能評価手法と混合物性状の相関性について",日本土木学会, 土木学会第57回年次学術講演会, 第5部, pp. 89-90.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